검색결과 리스트
세바스토폴에 해당되는 글 1건
- 2020.10.13 지상최대의 포격전 1.
글
지상최대의 포격전 1.
* 아래 이야기 전개의 기본은 이전 필수 영어단어들의 반복을 기본으로 한다.
최대한 많은 이전 암기 필수 단어들을 반복적으로 노출하고자 노력했다.
반복은 영어 단어 암기의 핵심중 하나이다. Good Luck!
역사상 가장 치열한 포격전(Bombardment) 이 일어난 곳은 어디일까요? 전략적 요충지,
난공불락의 요새(impregnable fortress)를 뺏기 위해서 대부분 치열한 포격전을 한다.
정답은 소련 흑해지역의 세바스토폴에서 독일과 소련은 최대의 포격전을 하였다.
난공불락의 요새의 대표 격은 프랑스의 마지노선, 영국의 싱가포르 해안 포대 등을 알고 있지만
이들은 2차 대전 개전과 함께 독일 육군과 일본 육군에게 허무하게 무너지고 말았다.
우수한 화력과 시설( 마지노선 내부 철도 시스템까지 갖춤, 싱가포르 해안에는 15인치(381mm)
해안포가 5문이나 설치)을 가진 이들 요새들은 허무하게 무너졌다.
이들과는 달리 소련의 세바스토폴은 강력한 독일 육군의 공격을 8개월 여 견디며, 최고의 요새임을
증명하였다.
세바스토폴이 난공불락(impregnable fortress)이 될 수 있었던 이유는 해안포의 설계에 있다.
흑해의 진주(the pearl of the Black Sea), 세바스토폴은 전함에서 사용하던 12인치(300mm)
포를 해안포대로 개조하면서, 포탑(turret 자체가 탱크처럼 360도 회전이 가능하게 설계했다.
반면 마지노선 포대들과 싱가포를 해안포 중 일부는 한쪽 방향 고정으로 콘크리트 진지 안에 장착되어
반대방향으로 포를 사용할 수 없었다.
세바스토폴 포위전은 1941년 6월 시작하여 8개월간 지상 최대의 포격전을 거쳐, 독일 남부군(south army
group) 소속, 제11군(field army) 만슈타인 장군이 세바스 토플을 함락시킨다.
세바스 토플은 흑해 북동쪽 크림반도의 서남쪽에 위치한 천혜의 협만들을 갖춘 항구로, 도시 해안선 북쪽과
남동쪽에 12인치 해안포대 4문을 갖추고 있는 천혜의 요새이다.
이 도시 부두에는 소련 흑해함대 (The Black Sea Fleet)의 전함 1척을 포함 22척의 순양함과 구축함, 44척의
잠수함(submarines)이 강력한 해군력을 갖추고 있었다.
" The soviet Black Sea fleet was a force to be reckoned with."
흑해함대 사령관은 vice-admiral (해군 중장)인 오케야 브로스키 제독이고, 해안 경비대 대장은 페트로프 major general (육군 소장) 이였다. 이들의 지휘 아래 강력한 저항(stubborn resistance)을 이끈 3대 요인은
1. 막강한 12인치 해안포대(독일군은 이를 막심 고르키 1, 2로 명칭함)와 645문의 견인포, 2000문의 박격포, 흑해 함대 전함의 함상포 지원.
2. 세바스토폴 주민들의 소련군 지원. 주민들은 군의 지휘 아래 세바스토폴 주변에 참호( anti-tank ditch)를 미로같이 수많이 연결하여, 독일 탱크사단의 기동성을 완전히 괴멸시켰다.
3. 소련 군인들의 우라 돌격(Ura Attack)까지 감행하면서 까지, 세바스토폴을 지키려는 의지
만슈타인 장군 지휘하의 정예 독일 제11군의 첫 공격에 대해 막강한 적 포격(bombardment)으로 수많은 피해를 입고 겨우 5km만 전진하자. 만슈타인은 작전을 바꾸어 맞대응 포격 전술을 구사한다.
독일이 가용할 수 있는 모든 대구경 포를 11군 휘하에 집결시킨다 여기에는 프랑스 마지노선에 배치되었던 600mm Mortar "토르", "오딘"과 800mm Rail gun "도라"(포탄 한 발이 7톤)도 포함하여, 도합 1500여 문의 포들을 세바스토폴 북서쪽에 집결시킨다. 이는 당시 35km의 전선에서, 평방 km당 40여 문의 포가 집결한 상태였다.
5일간의 포격을 가하자, 세바스토폴의 멀쩡한 건물이 하나도 남아나지 않을 정도의 전멸(annihilation) 상태
가 되었다. 양측 모두 포탄이(shell)이 떨어져 후방에 탄약(ammunition) 지원을 요청할 정도였다.
독일 11군은 5일간의 포격 후, 시내로 진격을 하자 소련 수비대(garrison)는 우라 돌격으로 육탄전까지 벌이며 강력한 저항을 하였다. 이때 독일에게 승리의 미소를 짓게 한 것은 수투카(flying artillery)였다.
수많은 출격(sortie)을 하면서도 비행기의 소모는 적은 상태로 소련군에게는 치명적 타격을 주었다(inflict serious damage).
이런 악 조건 속에서도, 소련군은 항복하지 않고 완강한 저항(stubborn resistance)을 계속하였다. 그러나 군수 보급함 조지아호가 격침당하고 보급이 끊기자 더 이상 버틸 수가 없었다(unsustainable).
소련군 사령부는 마지막 철수(evacuation) 내리지만, 수만 명의 수비대 중 겨우 수천 명만이 철수할 수 있었다. 나머지는 포로가 되거나, 자살하였다.
자! 영어공부합시다
1. reckon
이 단어는 "생각하다, 여겨지다"의 의미이다. 그러나 " to be reckoned with "는 강력한, 무시할 수 없는의 의미로 사용된다. be reckoned는 (성가시게) 생각을 자꾸 하게 된다는 의미이니, 마음속에 부담이 되는
"강력한"으로 인지하면 되겠다.
위의 문장에서 force는 무력집단이니, "force to be reckoned with"의 의미는 "강력한 부대"로 해석함.
2. stubborn
"고집 센, 완고한"의 의미이다. 이 단어 암기의 연계는 "stu-"는 study (공부)는 끈기가 있어야 하고, born,
태어나면서를 합치면 태어나면서 끈기 있다로 연상하고 외우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강력한 저항(stubborn resistance) 표현을 숙지.
3. evacuate
"떠나다, 비우다"의 의미이다. 접두사 "e-"는 바깥, out의 의미가 있고, vacu는 진공의 의미가 있다. 진공 상태로 만들다, 비우다로 연계해서 외우자. 군대 용어에서 철수하다는 "withdraw"를 사용하기도 한다.
4. ura attack
ura는 러시아어로 야호(환호), 만세의 뜻이다. 공격 시 환호를 지르며 공격하는 소련군 전법을 명칭 한다. 일본의 "반자이 공격"과 같은 의미이다.
5. sustainable
이 단어는 "유지하는(할 수 있는)"의 의미이다. 접두사 sus는 진행 중, 연속적인 일처리의 가운데 있는의 의미이다. tain은 얻다의 의미이고, 접미사 able은 할 수 있다. 합치면 "얻어서 가지고 있는 것이 가능한" 즉, "유지할 수 있는"의 의미로 확장 가능하다. 본문에서 "unsustainable"은 부정의 접두사 un-이 추가되어 "유지할 수 없는"의 뜻이다.
'영어공부 , Vocabula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준비된 자의 승리, 낫질작전 1. (0) | 2020.10.18 |
---|---|
지상최대의 포격전 2. (0) | 2020.10.14 |
군대조직(Military Unit) 영어 (0) | 2020.10.10 |
폴란드의 눈물 (0) | 2020.10.09 |
천하무적 (0) | 2020.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