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dway Island

미드웨이 섬은 미국 태평양 함대 모항인 하와이 진주만에서 북서쪽으로 1,483마일(2,391km) 떨어진 무인도이다. 미국은 여기에 1개 대대 규모의 수비대(garrison)와 56대의 항공기를 배치시켜 놓은 전방 교두보와 같은 섬이다. 일본은 미국 태평양 함대 모항인 하와이를 1942년 10월 점령하기 전에, 미드웨이 섬을 우선 점령하면서 가장 성가신 미국 항공모함(aircraft carrier)들을 이번 작전에서 제거하는 것을 가장 큰 목표로 정하고 항모 4척을 주력으로 한 최정예 함대를 투입한다. 

진주만 기습이 절반의 성공으로 끝나고 말레이 반도, 필리핀, 인도네시아, 및 버마를 장악 한 일본은 전쟁의 방향 성에 고민에 빠진다. 3가지 방향의 전쟁 시나리오를 가지고 검토에 들어간다.

 

1. 관동군을 이용한 소련과 일전을 하면서, 시베리아 지역을 장악하고 몽골리안 루트를 따라 독일과 함께 동. 서 양방향에서 모스크바로 진격 소련을 독일과 분할 통치하는 방안.

이 방향에 대하여 일본. 소련 국경 분쟁을 계기로 벌인, 1939년 할힌골 전투에서 소련을 너무 얕잡아본(looked down at the soviet army) 일본 관동군 제23사단은 충분한 화력 지원 없이 반자이 돌격을 감행하여

전멸하는 불상사를 만들어 내자, 일본 대본영은 소련과의 충돌을 피하고 월경을 엄격히 금하는 훈령을 내리고, 더 이상 시베리아 진격 작전은 진행되지 않았다.

 

2. 인도 실론섬을 독일과 협동작전으로 점령하고 인도에서 영국을 축출하고, 중동으로 진출하여 이집트의 영국 세력도 몰아내고 석유를 안전하게 확보하는 계획. 

실론작전

이 계획을 진행하는데 독일 히틀러는 굉장히 부정적이었다. 히틀러는 기본적으로 일본을 아시아 2류 민족쯤으로 간주하고 있었기 때문에 그들과 함께 중동을 분할한다는 계획 자체에 대하여 회의적이었다. 이런 독일의 비 협조적 반응에 따라 계획의 진전은 없었다.

 

3. 아시아 태평양에서 직접적인 위협이 되는 미국 태평양 함대를 더 이상 준동하지 못하게(crippling the U.S pacific fleet) 하기 위해서는 진주만 공습에서 파괴하지 못한 항공모함을 격파하여야 했다. 일본은 미드웨이 공격을 선택하고 1942년 6월 4일 태평양 전쟁의 방향을 바꿔놓은 미드웨이 해전을 시작한다.

 

미드웨이 해전의 목적은 태평양 함대의 모항 바로 앞에서 성채 역할을 하는 미드웨이 섬을 일본 함대가 폭격을 하면, 섬을 보호하기 위하여 미국 항공모함은 반드시 나타날 것이고 이때 미국 항공모함을 격파시킨다는 것이 일본의 작전이었다. 

미국은 일본의 미드웨이 섬을 공격할 것이라는 것을 암호해독을(decoding) 통하여 이미 알고 있는 상태에서, 미국이 가진 항공모함 3척을 2개의 임시 함대(Task Force 16, 17)로 편성하여 미드웨이 북동쪽 320 마일에서 대기하면서, 일본 함대가 1차 미드웨이를 공격하고 항공모함으로 귀환하여 재 무장하는 순간에 항모를 공격하면(sitting duck), 쉽게 적 항모를 이길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니미츠 제독은 이 작전의 완전한 성공에 대하여  확신을 할 수는 없었다. 항공모함도 3척에 불과하고, 공군 전력, 함대 전력도 일본에 상대가 되지 않았기 때문에 적 함대들과 항공기들이 어떻게 아군 함대를 공격할지 알 수 없었다.

미드웨이 해전의 승패는 초반 정찰(reconnaissance) 전에서 판결이 나고 말았다. 

미드웨이 섬 북서쪽 240마일 지점에 도착한, "나구모 준이찌" 공격 함대 사령관은 정찰비행을 지시한다.

일본군의 제로기와 어뢰 공격기, 급강하 폭격기 등은 미군 전력에 비해 뒤지지 않는 성능을 발휘하였지만, 일본군 정찰기는 아직도 일차 세계대전 때 사용하던 쌍엽기(biplane)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일본 95식 정찰기

 이들은 빈약한 항속거리(900km)로 400km 정도만 정찰하고 돌아와 재 급유를 받고 출격이 가능하였고, 무선 라디오 장비가 없어 모스부호 전신기로 정찰 내용을 송신했다. 미드웨이 해전에서도 7대의 정찰기만 반경 150 miles 안을 정찰하였다. 2번의 재 급유 후 미군 항공모함을 발견하고도 전신기 고장으로 다른 정찰기가 보고 할 때까지, 적 항모의 진행을 보고 하지 못 하였다. 또한 정찰기가 충분하지 못해 동쪽 반경만 7대의 정찰기로 확인하여, 미 항모, 호넷에서 발진한 1차 함상 공격기들이 1차 예상지점으로 폭격을 위해 출동했지만 일본 함대가 이동을 하여 찾지 못하고 돌아올 때 만일 360도 정찰 비행 중이었다면 분명 정찰기에 탐지되어 역사가 어떻게 바뀌었을지 모르는 일이다.

 

일본함대의 정찰비행 구역

이에 비하여, 미군의 정찰기는 PBY 카탈리나(flying boat)였다. 이 정찰기는 레저용 민간 비행기로 먼저 개발된 비행정이었다. 엔진도 1200마력(제로기 970마력 엔진)으로 최상급 엔진을 사용하여(항속거리 3,700km) 태평양 어느 곳에서나 이, 착륙이 가능하였으며 내부에 무선 라디오 송 수신기가 있어 정찰 내용을 언제든지 육성으로 전달할 수 있었다. 미 해군은 1942년 6월 3일~4일에 걸쳐 카탈리나 정찰기 20여 대를 360도 전방위로 정찰할 뿐 아니라 필요에 따라 의심 지점에 여러 차례 정찰 활동을 하여 일본 공격 함대의 위치를 확인하였고, 미드웨이 1차 공격대의 귀환 시점도 상세히 알고 있는 상황이었다.

 

미 해군 정찰기 PBY-카탈리나

1차 미드웨이 공격 편대 100여 대가 미드웨이를 폭격하고 돌아오는 길에,  2차 공습을 요청하자, 1차 공습 시 적 항모를 대비하여 어뢰를 장착한 예비 공격기들을 지상 공격용 폭탄으로 교체하라는 명령을 내린다.

항공모함 갑판은 폭탄 교체 작업이 한창인 중에 정찰기에서 보고가 들어온다, "적 항모 발견".  나구모는 정찰 소식에 놀라면서, 폭탄 교체 작업 중단과 다시 어뢰로 교체하라고 명령한다. 폭탄 교체 작업 중이던 병사들은 완전히 멘붕상태가 되고 만다. 그래도 명령이니 다시 탈착 한 어뢰를 가져오고 장착한 폭탄을 수거하는 중에 1차 공격 비행대가 착함 하기 시작한다. 갑판 아래에는 어뢰와 폭탄들이 뒤 썩여 있고 착륙한 1차 공격대 비행기까지 재 장전 작업에 들어가니 폭탄과 어뢰들로 뒤 범벅된 상태에서, 미 해군 항모에서 발진한 1차 공격대 100여 대가 공격을 감행하자 삽시간에 3대의 항공모함이 작전 수행능력을 상실하고 연속적인 공격으로 모두 좌초된다. 이런 와중에 일본판 원균인 "나구모 준이치"는 항공모함을 탈출하여 전함으로 갈아탄다.

일본 원균, 나구모 준이치 중장

구름에 가려 공격받지 않은 4번째 항모(회피 기동도 하였음), 히류는 재 장전이 끝난 20여 대의 공격 편대를 구성하여, 미군 항모 요크타운을 공격하여 치명상을 입힌다(최종적으로는 잠수함 어뢰 공격을 받아 격침됨). 미 항모, 엔터프라즈와 호넷에서 출격한 급강하 폭격기들의 공격을 받고 히류도 침몰하게 된다. 히류가 침몰하기 직전 "야마구치 다몬"소장은 생존 수병들의 탈출을 지시하고 자신은 항공모함 "히류"와 함께 전사한다. 

히류에서 전사한 야마구찌 다몬소장

결론(conclusion)

미국은 항공모함 1척과 150 여기의 항공기 손실을 입었지만 압도적인 승리를 하였다. 일본은 항공모함 4척과 240여 기의 항공기 손실을 입었고, 미드웨이 해전 이후 재해 권을 미국에 넘겨주었다. 이 해전을 계기로 전쟁의 주도권이 완전히 일본에서 미국으로 바뀌게 된다.

 

역사의 가정

1. 일본 해군이 충분한 정찰기를 운영하였다면 해전에서 어떻게 되었을까?

 

2. sitting duck타이밍에 나구모가 야마구찌 소장의 건의를 받아들여, 예비 비행대를 미군 항공모함 쪽으로 먼저 발진시켰다면 미국 항모를 모두 격파시킬 수 있었을까?

 

3. 알류샨 열도 쪽으로 파견된 항모 2척과 함대를 진주만 상륙 작전에 투입하였다면 미드웨이 해전 중 비어있던 진주만을 함락할 수 있지 않았을까?

 

참 어이없는 해전이었다. 모든 전력에서 우세하였는데, 나구모라는 못 난 장군 하나의 어이없는 결정으로 항모 4척과 우수한 조종사들을 모두 잃어 버리고, 미국의 압도적 승리로 끝나게 되었다.

 

영어공부 합시다.

 

1. biplane

쌍엽기

"쌍엽기"의 의미이다. bi-접두사는 라틴어원으로 "2, 쌍"이라는 어미가 있다. 비행기의 날개가 아래, 위로 짝을 이룬 비행기를 의미한다. 그러면 날개가 한 개인 비행기는 monoplane이라 한다.

2. reconnaissance

정찰

'정찰"이라는 의미이다. 이 단어의 어두는 "recognize"(발견하다, 인식하다) 단어에서 왔다. 발견하기 위한 행위, 즉 정찰을 의미한다.

3. sitting duck

사냥 시점

오리가 물 위에 앉아 있을때, 오리는 물위에 떠 있기 위해서 발 졌는데 모든 집중을 하므로, 포수가 가장 사냥하기 좋은 시점이다. 이런 유래에서 "가장 좋은 사냥 시점"이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설정

트랙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