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베트콩어원에 해당되는 글 1건
- 2020.12.09 베트남의 분단, 제네바 회담
글
베트남의 분단, 제네바 회담
북위 17도선으로 남북 분단.
디엔비엔푸 전투는 프랑스와 북 베트남의 총력을 기울인 한판 전쟁이었다.
프랑스 군은 병력면에서 북 베트남에 열세였지만, 미군에게서 양도받은 전투기, 급강하 폭격기 등 300여 대의 막강한 공군력과 나름 전투 경험이 풍부하다는 프랑스 외인부대를 중심으로 한 2만여 명의 정예 프랑스군이 있었고 M-24 탱크 10대를 분해 공수하여 보유하였고 105mm 곡사포 28문, 155mm 곡사포 4문 등 중화기를 가진 프랑스군은 1953년 12월부터 북 베트남이 5개 사단을 디엔비엔푸 루트를 통해 이동할 때 자신들의 계획대로 이루어진다고 생각하였다.(적의 주력 부대를 유인하여 우세한 공군력과 화력으로 적을 격퇴시킨다)
반면, 북 베트남 군은 490,000 명의 병력이 동원되었지만 공중 지원이 전혀 없고 75mm 곡사포 150 여문, 중국제 105mm 곡사포(howitzer) 20여 문, 37mm 대공포 80여 문과 9천여 문의 박격포(중공의 1949년 승리로 여분의 박격포를 전량 지원하여, 분대(squad) 단위로 박격포를 가질 정도로 많이 지원함)를 가지고 있었다. 객관적인 화력을 비교하면 프랑스의 압승이 예상되었지만, 프랑스군의 오만, 북베트남이 도보로 이동하여 받자 얼마나 많은 화기를 운반할 수 있겠나, 기껏 해봐야 박격포 100문, 곡사포 50문 정도 일 것이라 예상하고 진지를 구축하였다. 실제 200여 문의 곡사포가 일제히 진지를 포격하고, 프랑스 비행기에 대하여 37mm 대공포로 화망 (fire net)을 구성하자 프랑스 전투기의 공중 지원은 무력화되었다. 역시 큰 전쟁의 경험이 없는 프랑스 공군은 허약했다. 또한 끝없이 쏟아지는 박격포(mortar)의 위력은 프랑스군이 고개를 들기가 힘들 정도였다. 탱크 중대의 운용이나 막강한 M2 105mm, 155mm 곡사포는 근접 접근하는 적들에게 사용하지도 못하였다(정말 한심하다. 전멸하지 않고 항복하는 꼴이 한심하다). 한마디로 이렇게 많은 화력을 도보로 이송한 베트남 군의 승리였다. 이미 언급한 것처럼 보능우엔 지압 장군이라는 게릴라전의 대가의 전략과 북 베트남군의 사기, 역사적인 화력 이송작전이 만들어낸 승리였다.
프랑스는 미국, 영국을 통하여 중공, 소련 측에 휴전 회담을 제의하고 스위스 제네바에서 회담이 개최된다.
비엔 민은 승전국으로서 베트남의 독립과 프랑스의 완전한 철수를 요구하였지만, 중재자들, 특히 중공의 입장은 빠른 휴전을 통한 미국, 영국 세력의 베트남 개입을 차단하는 것이 제1의 과제였으므로 북위 17도선을 기준으로 D.M.Z(Demilitarized Zone)을 설정하고 북쪽은 베트남 인민 공화국(월맹이라 칭함)이 통치하고, 남쭉은 자본주의 체제인 베트남 연방이 통치하게 된다.
또한 빠른 시간 안에 남. 북 베트남 동시 선거를 실시하여 베트남의 미래를 결정한다는 합의문을 만들어 서로 서명한다. 프랑스는 베트남 연방(월남이라 칭함)과 라오스, 캄보디아를 계속 식민 통치하려고 하였지만 라오스, 캄보디아도 각각 독립을 선언하고 자체 정권이 들어서고 남부 베트남은 응오 딘 지엠이 총리로 지명되면서 자본주의 체제를 유지한다. 딘 지엠의 월남 정권은 프랑스 정권을 패싱 하고 직접 미국과 접촉하면서 이후 프랑스는 인도차이나에서 영향력을 미국에 넘겨주고 만다.
중공과 소련의 적극적인 원조를 기반으로 1958년까지 월맹은 국가 기반시설과 식량 등의 문제 해결을 위하여 총력을 기울인다. 월남의 집권자 딘 지엠은 미국의 전폭적인 지원( 1954년에는 10억 달러 지원)에도 자신의 정적들 제거와 불교 탄압, 측근의 부정부패 등으로 남부 베트남 민중의 외면을 받기 시작하였다. 제네바 회담에 따른 동시선거는 미국의 거부(남. 북 동시 선거를 실시하면 호찌민의 당선이 확실시되며, 호찌민은 베트남을 공산주의 국가로 만들 것이며 이후 전 동남아시아는 도미노처럼 전부 공산화될 수 있다고 미국은 판단하였다)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부분은 1948년 유엔 결의에 따른 남. 북 동시선거 실시를 권고한 우리나라의 경우와 매우 유사하지만 한반도의 거부 주체는 소련과 북한이었다.
1958년부터 월맹은 호찌민을 중심으로 무력 적화 통일노선을 강화한다. 무력 통일의 기본 노선은 남부 베트남 내의 공산주의 세력 확장 및 공산 폭력 혁명 투쟁 강화를 1단계 전략으로 정하고 제네바 회담 결정에 따라 북송된 80,000여 명의 남부 출신 공산주의자들에 대한 선전 선동 교육을 강화한 후 이들을 남부 베트남으로 파견하여 학교, 공장, 농촌, 심지어 종교계에 까지 침투하여 태업과 반 정부 투쟁 데모를 활성화하였다.
이런 공산 혁명 분위기 조장 작업과 더불어 무장 투쟁을 병행하기 위해 북 베트남은 디엔비엔푸 전투 경험이 있는 베테랑(veteran) 군인을 중심으로 한 4,800여 명을 사이공 서북부 지역에 파견하여 남부 베트남 무장 혁명대를 구성한다. 이 조직의 이름이 N.L.F(National liberation Front: 민족 해방 전선)이다.(베트남의 민족해방전선 이름은 1970년~80년대 대한민국의 전대협(전국 대학생협의회) 내의 NL계열이니 PL계열이니 하는 용어의 근원이 된다.) 이들은 전국적인 철도 폭파를 통한 운송, 연락체계 마비, 정부 요인 암살 등을 주 임무로 수행하였는데 1961년 한 해 동안 약 450건의 암살(assassination)과 700건의 납치(kidnap) 사건을 일으켰다. 딘 지엠 정권(regime)은 이들을 통칭하여 "Vietnamese Communists"라고 통칭하였는데 이 용어가 "Viet Cong"(베트콩)으로 불려지게 되었다.
1961년 9월, 이들 무장 폭력세력은 17,000여 명에 이르고 사이공 서북부 캄보디아 국경 지대를 완전히 장악하게 된다. (우리나라 지리산 빨치산(partisan)들과 너무나 흡사합니다)
1961년 미국 제35대 대통령으로 당선된 존. F. 케네디 대통령은 베트콩 세력의 준동에 대하여 C.I.A 보고(남부 베트남의 베트콩 세력의 준동은 더욱 격화되어지고 있으며 이런 상태로 계속 진행될 경우 미군의 투입이 없으면 공산화될 것이다.)를 받고 미군 투입을 배제한(rule out) 남 베트남 정규군 200,000명 육성정책을 지시한다. 이 계획에 따라 미 군사 고문단 900여 명이 투입되면서 미국은 전쟁의 늪으로 들어가게 된다(set foot in).
영어공부 합시다.
1. kidnap
"납치, 유괴"라는 의미이다. 이 단어의 구성은 "kid"(아이)를 부모 몰래 "(s) nap"(낚아채다)로 분석이 가능하다.
2. rule out
"배제하다, 제외하다"의 의미이다. 이 단어는 통치, 지배하다는 "rule"이 영향을 미칠 수 없는 out에 있으니 배제하다의 의미이다
3. set foot in
"발을 들여놓다, 참여하다"의 의미이다. foot(발)을 in(안에), set(갖추다, 두다). 이 표현은 우리 말과도 너무 유사하면서도 잘 사용을 못하는 것 같아 소개합니다.
'영어공부 , Vocabula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트남 전쟁의 진실 (0) | 2020.12.17 |
---|---|
헬리콥터 전쟁, 베트남 전쟁의 무기들 (0) | 2020.12.13 |
프랑스의 굴욕, 디엔비엔푸 전투. (0) | 2020.12.07 |
베트남 전쟁의 시작, 일본육군의 마지막 전투 (0) | 2020.12.02 |
미.일 최대의 항공모함 전투 (0) | 2020.11.30 |